농협은행과 지역농협 차이점, 농축협 지점 구분 방법 정리

통장을 정리할려고 갔는데 농협은행 또는 농축협 은행으로 가야 한다는 얘기를 종종 들을 수가 있습니다.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은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가 있는데요. 오늘은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의 차이점과 구분 방법 그리고 이용 시 주의할 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방문할 예정이라면 참고해서 이용을 해보세요.

농협은행과 지역농협(농·축협)의 기본 개념

NH농협은행은 과거 농협중앙회의 신용사업부문이 분리되어 2012년에 설립된 1금융권 시중은행입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과 같은 1금융권으로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별도의 법인인 농협은행 주식회사입니다. 농협중앙회나 농협중앙은행 등으로 알고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반면 농·축협(단위농협, 지역농협 등)은 지역마다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협동조합으로 2금융권에 속합니다. 흔히 단위농협, 지역농협, 농협조합 등으로 불리며, 서울, 수도권, 지방에서 OO농협 이름으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서농협, 파주축협, 제주농협 같은 명칭이 바로 이 지역농협을 의미합니다.

특히 농축협의 가장 큰 특징은 금융업무뿐만 아니라 하나로마트, 주유소, 농자재 판매 등도 함께 운영하기 때문에 단순한 금융기관이 아니라 지역 농업인과 주민들을 위한 종합 서비스라 볼 수가 있습니다.

농협은행과 지역농협(농·축협) 차이점

이제 농협은행과 지역농협(농·축협) 간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표를 통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농협은행 (NH농협은행)지역농협 (농·축협)
법적 성격농협중앙회 신용사업 분리로 2012년 설립된 주식회사(은행)각 지역 단위로 설립된 협동조합
(조합원 중심)
금융권 구분1금융권 (은행법 적용)2금융권 (상호금융업법 적용)
주요 업무예금, 대출, 외환, 펀드, 카드, 신탁 등 순수 금융 업무금융 업무 + 농자재, 하나로마트, 주유소, 농산물 유통 등 경제사업 병행
대출 업무개인·기업 등 전국 단위 대출 가능조합원·지역민 중심 대출
(농업인 대상 특화상품 많음)
카드 발급NH농협카드
(1금융권 전용 카드사)
농·축협 전용 신용카드
(상호금융계열)
표기NH농협은행 OO지점OO농협 OO지점
예금자 보호예금자보호법 적용
-> 예금보험공사(KDIC) 보호
상호금융예금자보호법 적용
-> 농협중앙회 보호기금 보호
청약·외환 등 전문업무가능대부분 불가능 (위탁 취급만 가능)
인터넷·모바일뱅킹 표기NH농협은행OO농협 (조합명 표시)

1금융권, 2금융권이라는 큰 차이가 있지만 그 외에도 예금자보호 제도도 다르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잘 살펴보고 선택을 해야 합니다.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을 구분하는 2가지 방법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계좌번호와 은행 표기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계좌번호

과거에는 계좌번호 2~3번째 자리 숫자로 구분했으나 현재는 계좌 앞 세 자리 숫자로 구분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농협은행 계좌번호

  • 13자리 : XXXXXXXXXXX-X8 (맞춤계좌)
  • 11자리 : AAA-YY-XXXXXX (전산통합 이전, AAA=지점코드, YY=01, 02, 12)
  • 12자리 : AAAA-YY-XXXXXX (전산통합 이전)
  • 13자리 : 3YY-XXXX-XXXX-XZ (YY=01, 02, 12)

지역농협(농축협) 계좌번호

  • 10자리 : XXXX-XXXX-X9 (맞춤계좌)
  • 13자리 : 3YY-XXXX-XXXX-XZ (YY=51, 52, 56)
  • 14자리 : AAAAAA-YY-XXXXXX (전산통합 이전)

간단히 기억하려면 농협은행은 01, 02, 12 같은 번호가 많고 지역농협(농축협)은 51, 52, 53, 56 등의 번호가 많습니다. 다만 이 방식은 과거 기준이고 최근에는 계좌 첫 3자리 숫자로 구분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하지만 계좌번호만으로 구분하는 것은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전산 통합과 시스템 변경으로 인해 예외도 있을 수 있으니 확실한 구분을 위해서는 은행 표기 방식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 표기

은행 표기 방식은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NH농협은행은 간판에 은행이라는 명칭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NH농협은행 강남지점, NH농협은행 종로지점 등으로 표기됩니다.

농협은행과 지역농협 차이점, 농축협 지점 구분 방법 정리

반면 지역농협(농축협)은 은행이 없는 OO농협 형태로 간판에 표시됩니다. 강서농협, 파주축협, 양주농협 등입니다.

농협은행과 지역농협 차이점, 농축협 지점 구분 방법 정리

즉 간단히 정리하자면 간판에 은행이 붙어 있으면 1금융권 농협은행이고 은행이라는 단어가 없으면 2금융권 지역농협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지도에서 농협이라고 검색을 해보면 이렇게 OO농협은 지역농협으로 알고 있으면 되며 NH농협은행 OO 지점은 농협은행으로 알고 있으면 되겠습니다. 구분하기가 어렵지는 않습니다.

농협은행과 지역농협 차이점, 농축협 지점 구분 방법 정리

이용 시 주의해야 할 점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을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사항들이 있습니다.

  • NH농협은행에서 개설한 계좌는 재발급, 통장 이월, 각종 변경 업무는 농협은행 지점에서만 처리해야 하며 지역농협에서는 해당 은행계좌 관련 업무를 취급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 기본적인 입출금 및 송금 업무는 농협은행과 지역농협 모두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추가 수수료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일부 지역농협의 경우 전산 처리 시간이 다를 수 있어 거래 내역이 즉시 반영되지 않고 다음 영업일에 반영될 수도 있습니다.
  • 주택청약, 외환, 펀드, 학자금 대출 이자 납입 등은 모두 NH농협은행 전용 업무이며 지역농협에서는 취급하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변동이 될 수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러한 주의사항을 잘 알고 있다면 업무 처리하는 데 헛걸음을 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마무리

농협은행과 지역농협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두 기관은 비슷한 이름을 사용하지만 금융권이라던지 예금자보호 등 여러면에서 다른 부분이 있으니까 이런 부분들을 참고해서 이용을 해야 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