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신용카드나 대출을 받을 때 신용점수를 먼저 체크를 해야 하는데요.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들의 경우 신용점수 750점을 가진 분들이 많습니다. 이 정도면 대출이나 카드 발급이 가능할까 이런 생각을 자주 하게 되는데요. 수치만 보면 중간쯤 되는 것 같은데 실제로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이 점수를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할 수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KCB 신용점수 750점의 의미와 대출 가능 여부, 카드 발급 기준 그리고 점수를 올리기 위한 방법까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이 글은 KCB 및 NICE의 신용점수 체계에 대한 공공자료와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참고용 콘텐츠입니다. 실제 신용카드 발급이나 대출 가능 여부는 개인의 금융 이력과 평가 기관, 금융사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KCB와 NICE 신용점수
개인 신용점수는 크게 KCB, NICE에서 산정합니다. 두 기관 모두 1~1000점 범위로 점수를 매기고 있으며 평가 방식에 따라 등급 구간별 실제 점수 분표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가 있습니다.
구분 | KCB(코리아크레딧뷰로) | NICE(나이스평가정보) |
---|---|---|
주요 평가 항목 | 신용거래 형태(38%), 부채 수준(24%), 상환 이력(21%) | 상환이력(28.4%), 신용거래 형태(27.5%), 부채 수준(24.5%) |
특징 | 신용카드 사용 패턴, 대출 형태에 높은 비중 | 연체 이력 등 상환 이력에 더 높은 비중 |
750점 기준 | 상위 10%대 초입 양호 | 상위 30%대 중후반 중간~양호 |
이런 차이 때문에 동일한 사람이라도 KCB와 NICE에서 신용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제 신용점수도 KCB는 1000점이었는데 NICE는 960점으로 나온 경험이 있는데요. 아마도 카드 사용에서는 좋은 점수를 받았지만 상환 이력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신용점수 750점은 실제 어느정도 일까?
2024년 기준으로 신용점수 750점은 전체적으로 보면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입니다. 평균 신용점수가 838~840점 정도니까 750점은 평균보다는 조금 낮은 점수죠. 그래도 KCB에서는 상위 약 10% NICE에서는 상위 약 35% 안에 든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과거 등급제로 따지면 KCB 기준 5등급에 속한다고 보면 되는데요. 즉 위험한 점수는 아니고 보통보다는 살짝 좋은 수준이라고 보시면 돼요.
실제 인원 분포를 보면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2024기준 기준 KCB 신용점수 인원 분포
점수 구간 | KCB 인원 수 (2024년 기준) |
---|---|
950점 이상 | 13,994,261명 |
900~949점 | 8,168,075명 |
850~899점 | 3,888,917명 |
800~849점 | 2,771,543명 |
750~799점 | 5,251,276명 |
700~749점 | 8,182,906명 |
600~699점 | 4,890,452명 |
300~599점 | 1,000,725명 |
300점 미만 | 1,910,568명 |
2024기준 기준 NICE 신용점수 인원 분포
점수 구간 | NICE 인원 수 (2024년) |
---|---|
900점 이상 | 23,131,315명 |
800~899점 | 10,811,848명 |
700~799점 | 12,332,060명 |
600~699점 | 710,523명 |
500~599점 | 153,617명 |
400~499점 | 59,992명 |
300~399점 | 1,798,451명 |
200~299점 | 217,246명 |
200점 미만 | 3,667명 |
신용점수 750점은 높은 점수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낮은 점수도 아닙니다. 1년 안에 연체할 가능성(불량률)이 약 1.16%로 800점 이상(0.58%)보다는 조금 높지만 700점대 평균(2.9%)보다는 훨씬 낮습니다. 즉 750점은 평균보다는 약간 낮은 편이지만 크게 위험하진 않은 수준이라고 보면 됩니다.

신용점수 750점으로 가능한 대출
신용점수 750점은 대출이 불가능한 수준은 절대 아닙니다. 다만 1금융권(시중은행)에서 최저 금리, 최대 한도를 받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수입니다. 실제로 1금융권 대출은 보통 698점 이상부터 가능하며 750점이면 중금리 대출이나 카드론, 비상금대출 등 다양한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NH농협카드 장기카드대출(카드론)에서 신용점수 750점으로 연 12.1% 금리로 3500만원 대출을 받은 경우도 있는데 700점대 평균 금리는 15.1%로 800점보다는 다소 높은 편입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750점대는 주로 중금리(연 10~16% 내외)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고 대출 한도도 신용이 더 높은 사람에 비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2금융권(저축은행, 캐피탈 등)은 더 유연한 심사를 진행하지만 그만큼 금리가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대출 가능한 상품 | 내용 |
---|---|
우리은행 – 새희망홀씨Ⅱ(스마트) | 대출 대상 : 소득 확인이 가능한 직장인 및 개인사업자 대출 한도 : 100만 원 ~ 3,500만 원 대출 기간 : 최장 7년 |
국민은행 – KB 국민ONE대출 | 대출 대상 : 국민은행 1년이상 거래 고객 또는 KB국민ONE통장 가입고객 조건 충족 대출 한도 : 최대 2,000만 원 대출 기간 : 최장 10년 ※ 신용점수 600점대 이상 가능 |
다올저축은행 – Fi 직장인엣지 | 대출 대상 : 건강보험에 가입된 직장인 대출 한도 : 100만 원 ~ 1억 원 금리 : 연 5.90% ~ 10.94% 대출 기간 : 최장 120개월 ※ 신용점수 680점대 이상 가능 |
나이스지키미 – 맞춤형 대출상품 추천 | 개인 신용점수 기반 맞춤형 대출상품 추천 |
올크레딧 – 스마트 대출 찾기 | 신용점수 701~800점 그룹에 해당하는 맞춤형 대출상품 추천 |
실제로 예전에 신용점수 750점으로 KB저축은행 비상금대출(한도 300만원, 금리 13%)을 승인받았고 국민카드도 무난히 발급됐습니다. 다만 대출 한도는 생각보다 적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신용점수 750점으로 신용카드 발급
신용카드 발급 기준은 카드사마다 다르지만 KCB 기준 621점 이상이면 대부분의 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 신용점수 750점은 이 기준을 충분히 넘는 수준인데요. 실제로 신한카드 등 주요 카드사에서는 750점 이상이면 신규 발급이 가능하며 750점 미만일 경우 6등급으로 간주되어 부결될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카드 발급은 신용점수 750점 외에도 소득, 기존 연체, 카드론 과다 사용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기 때문에 신용점수가 충족된다고 발급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회초년생이나 무직자는 계좌 잔액, 금융상품 가입 내역 등으로 대체 심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니 미리 준비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급하게 카드가 필요하다면?
-> 오늘 바로 발급 가능한 카드 총정리!
신용점수 750점보다 더 올리는 현실적인 방법
신용점수 750점에서 더 높은 점수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다만 신용점수가 한번에 팍 오르지 않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연체 절대 방지
- 신용카드 한도 대비 사용률 30% 이하 유지
- 현금서비스,카드론 사용 자제
- 소액대출 있으면 상환
- 통신비.공공요금 납부 성실히
이런 내용들이 신용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신용점수가 왜 자꾸 떨어질까요?"
-> 나만 몰랐던 진짜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네,가능합니다. 1금융권 전세대출은 KCB 650~655점, NICE 700~740점 이상이면 가능합니다. 750점이면 충분히 승인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한도와 금리는 신용점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전세자금대출 받기전에 신용점수를 더 올려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니요. 신용점수 단순 조회는 점수에 영향이 없습니다. 다만 떨어지는 내용들이 있으니 자세한 정보는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평가 항목 비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NICE는 상환이력(연체)에 더 민감하고 KCB는 신용거래 형태(카드 사용 패턴 등)에 더 비중을 두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확인해보세요.
마무리
KCB 신용점수 750점은 평균보다는 약간 낮지만 일상적인 금융생활에는 큰 제약이 없는 점수입니다. 신용카드 발급이나 중금리 대출, 비상금대출 등 금융거래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성이 높은데 다만 1금융권 대출에서 금리나 한도가 낮을 수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꾸준하게 신용점수를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